쥴리와 마크는 형제자매간이다. 둘은 여름 방학을 맞아 프랑스로 함께 여행을 떠났다. 어느 날 해변가에 있는 오두막에 둘만 머물게 되었다. 이들은 성관계를 가지면 흥미롭고 재미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적어도 서로에게 새로운 경험이 될 것 같았다. 쥴리는 이미 피임약을 복용하고 있었지만 마크는 안전을 위해 콘돔을 사용했다. 둘 다 즐거움을 느꼈으나 앞으로는 다시 이런 일을 하지 않기로 결심했다. 그날 밤 일을 특별한 비밀로 지켰으며 그것이 서로를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당신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들이 관계를 가진 일은 문제 없는가? (Haidt, 2001, p.814)
대부분의 사람들은 즉각 쥴리와 마크가 벌인 근친상간을 나쁘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이유를 말해보라고 하면 어려움을 겪는다. 어떤 이들은 동종번식(inbreeding)은 유전적 혼란을 초래한다고 말했다가 두 사람 모두가 이중으로 피임을 했음을 떠올린다. 일부는 심리적 손상을 이야기했다가 이야기 전말이 분명 그렇지 않음을 깨닫는다. 나쁘다고 하는 이유를 대라고 더 압박을 가하면, "잘 모르겠지만, 혹은 설명할 수는 없지만, 난 잘못 되었다는 것을 단지 그냥 알고 있어요"라는 식으로 답을 한다(Haidt, 2001, p814)
- 데이비드 버스, <마음의 기원>, 나노미디어, 559페이지
우리는 우리의 합리성을 과도하게 평가한다. 우리는 본능적이거나 학습된(주입된) 감정에 의해 판단을 우선 한 뒤, 그것의 근거를 대보라고 하면 그때부터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이유를 찾는다. 그것이 기본적인 사람의 사고패턴이고, 냉철한 사람만이 그런 패턴을 피해가기도 한다. 어쨌든 간단한 논리만 알면 되었던 수렵, 채집 사회에서는 오래 합리적으로 고민하는 것보다 직관적으로(주로 감정이 관여한다) 판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물론 그 직관적인 판단이 가장 좋은 '결과'까지 낸다면 더없이 좋을 것이고 가장 좋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 좋은 결과를 내더라도 판단에 소요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합리적 사고보다 좋을 수 있다.
그것을 가장 잘 대변하는 것이 정치인을 뽑는 투표다. 아무리 정책을 이야기하고 정책을 귀담아 들어라 하고 정책을 보고 뽑자고 하더라도 유권자는 합리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정말 합리적으로 판단하려고 노력한다면 계급에 배반하는 투표도 나오지 않을 것이고 정치인들은 이미지 메이킹 보다는 정교한 정책을 만드느라 시간을 쓸 것이다. 유권자들의 판단은 그보다 훨씬 단순한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당에 의한 판단이다. 당에 의한 판단은 다른 판단들보다 훨씬 합리적이고 원하는 결과를 얻는 기준 중 하나다. 그러나 당에 대한 지지 자체가 그리 합리적이지 않다는 데에 함정이 있다. 특별히 지지하는 당이 없다면 인지도, 외모, 연설 전달력, 종합적 이미지 등등 정책이나 공약과는 무관한 요소들이 유권자의 판단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유권자가 배우지 못해서가 아니라 사람이 원래 그렇기 때문이다. 그 와중에도 정책을 얘기하고 공약의 장단점과 실현 가능성을 따지는 사람이 있고 또 그런 사람이 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정책 및 공약 분석에 많은 인지적 자원을 쏟는다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과도한 노력이다. 그러므로 정책이나 공약을 분석해서 간단히 정리해주고 공약을 지켰는지 확인해주는 시스템을 잘 구축하여 많은 인지적 자원을 쏟지 않고도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날 왜 사랑하냐고 물었을 때 이유를 말할 수 없어야 진짜 사랑하는 거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이 근거가 있는 이유는 우리는 결코 분명한 이유를 갖고 누군가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왜 좋아하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야 비로소 이런 저런 이유를 찾지만, 그것은 진짜 이유가 아닐 수 있다. 오히려 그런 이유가 있다는 것은 자신의 손익을 합리적으로 계산했다는 것이니 말해봤자 상대방에게 좋을 것이 없다.
인용문에서 든 예시처럼 사회에서 금기시 되는 것들은 보통 그 이유가 불분명한 것들이 많다. 어떤 것이 금기시 된다고 학습한 우리는 감정을 수반하는 판단 경로를 통해 금기시 되는 이유들이 해결된 이후에도 여전히 불편하게 여긴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냥 싫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