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발명되기 전까지 기억은 온전히 자신의 몫이었다.
자신의 변하는 모습이란 상상할 수 없었고, 화가에게 그림을 맡길 수 있는 귀족들이나 늙어가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역치 이하의 변화되는 이미지는 기억이 담아내지 못했다.
희미해지는 기억을 붙잡을 수 있는 방법은 없었고, 뿌연 꿈 속의 장면이 되었다.
대신 기억은 공정했다. 인상적인 장면은 기억에 오래 남고, 일상적인 일은 추상적인 기억으로, 의미없는 시간들은 망각의 배수구로 빨려나갔다. 첫경험, 충격정도, 감정상태, 그 일의 중요성, 당시의 신경생리상태, 기억의 회상 횟수, 연상의 용이함 등에 따라 기억의 선명함은 결정된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사진의 기억 독재 속에 살고 있다. 사진의 그 완벽한 선명성은 어떤 기억도 뛰어 넘을 수 없다. 사진 밖 기억은 위에 나열한 조건에 따라 여전히 작동하지만, 사진을 보며 회상 할 때는 선명한 사진을 중심으로 기억은 배경으로 밀려난다. 시간이 갈 수록 희미해지고 왜곡될 수밖에 없는 기억들 사이로 사진은 그 선명함을 잃지 않는다.
정지된 사진 앞에 너무나 초라한 내적 기억은 조금씩 자리를 내준다.
사람들은 더 이상 눈을 감고 기억을 떠올리기보다는 폴더 속 사진을 열어본다.
사진에 기억을 의지하는 습관은 과거의 사건을 사진 속 장면으로 치환시킨다.
사진은 기억을 더 쉽게 연상시키도록 도와주지만, 반드시 자신이 중심이 되도록 만든다.
사진 독재의 횡포는 이제부터 시작된다.
사진은 어떻게 찍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평범하게 고기를 구워먹는 자리라도 색감과 밝기를 조정하면 근사한 기억이 될 수 있다. 잘 찍힌 사진을 들여다 보는 것은 '회상횟수'를 늘이는 것과 같다. 아무리 즐거웠던 추억이라도, 사진을 찍지 못했다면 근사한 사진이 찍힌 다른 추억에 조금씩 자리를 내준다.
아주 잠시 즐거웠다고 하더라도 그 순간이 사진으로 남는다면 그 모임은 시간이 지날수록 즐거웠던 모임이 된다.
결국 사진을 중심으로 기억은 재구성된다.
사진이 남기는 기억의 흔적은 타인과의 불필요한 비교도 동반한다.
싸이월드와 같은 곳에서는 더 많은 일을 겪은 사람보다 더 많은 사진을 찍은 사람의 추억이 더 많아보인다. 더 행복한 시간을 보낸 사람보다 더 아름다운 사진을 남긴 사람의 기억이 더 값져보인다. 사진을 남기지 못한 내 기억들은 초라해진다. 좋은 카메라와 그 카메라를 사용하는 기술은 자신의 기억을 얼마나 잘 담아내느냐를 결정하고, 기억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것이기보다 꾸며지고, 치장되어야 할 것으로 바뀐다. 각종 이미지효과에 기억은 덧칠해진다.
단편적인 사진들은 나의 과거를 구성하는 자아가 되고, 더 근사하고 풍부한 자아가 되기 위해, 사람들은 강박증이라 할 정도로 사진을 남기려 한다. "남는 건 사진밖에 없다"는 말을 셔터를 찍어대듯 남발하면서.
사진 하나 남기지 못한 시절은 풍부해진 보조기억들의 홍수 속에 연상의 지푸라기를 잡지 못하고 도려내어질지도 모른다. 입맛대로 기억을 선택하는 사진의 독재에 대항하는 방법은 매순간을 강박증 걸린 환자처럼 사진으로 남겨, 기억을 선택할 기회를 갖는 것밖에 없을까. 아니면 내 사진을 근사하게 찍어줄 친구를 사귀어 독재시대의 기회를 잡아야 할까.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