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 Vygotsky는 아동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실제발달영역이 있으며, 누군가의 도움(힌트)을 받으면 해결할 수 있는 근접발달영역이 있다고 하였다. 근접발달영역은 잠재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근접발달영역은 굳이 아동의 발달에만 국한할 필요는 없다. 청소년의 지적능력 발달, 그리고 성인 이후의 학습능력에도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잇다.
어떤 위대한 사람도 스승이 있다. 비록 그 스승이 제자보다 위대하지 않더라도, 스승없이 위대한 사람이 될 수는 없다. 스승은 근접발달영역을 발견하고 키워주는 사람이고, 잠재력이란 근접발달영역이 매우 넓은 사람이다. 근접발달영역은 학습 이후에는 실제발달영역이 되며, 실제 발달 수준과 근접 발달 영역을 포함한 잠재적 발달 수준은 더욱 넓어진다. 그 부분을 잘 발견하여 이끌어주는 것이 좋은 스승이고, 거기에 잘 따라주는 것이 제자의 능력이다.
도움 없이 수행하는 능력이 비슷하더라도 근접발달영역에서는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것을 누가 발견해서 발달시켜주느냐가 중요하다.
근접발달영역은 굳이 아동의 발달에만 국한할 필요는 없다. 청소년의 지적능력 발달, 그리고 성인 이후의 학습능력에도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잇다.
어떤 위대한 사람도 스승이 있다. 비록 그 스승이 제자보다 위대하지 않더라도, 스승없이 위대한 사람이 될 수는 없다. 스승은 근접발달영역을 발견하고 키워주는 사람이고, 잠재력이란 근접발달영역이 매우 넓은 사람이다. 근접발달영역은 학습 이후에는 실제발달영역이 되며, 실제 발달 수준과 근접 발달 영역을 포함한 잠재적 발달 수준은 더욱 넓어진다. 그 부분을 잘 발견하여 이끌어주는 것이 좋은 스승이고, 거기에 잘 따라주는 것이 제자의 능력이다.
도움 없이 수행하는 능력이 비슷하더라도 근접발달영역에서는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것을 누가 발견해서 발달시켜주느냐가 중요하다.